1. 적정 주가 계산법 (PER 공식)
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,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.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되는데요, 참고로 주당 순이익(EPS)은 기업의 순이익을 주식의 갯수로 나눈 값입니다.
✅ PER이 높다면, 투자자들의 기대가 반영되어 주가가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그만큼 주가가 하락 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겠습니다.
✅ PER이 낮다면,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현재 수익성이 낮거나 미래 성장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된 결과일 수 있습니다.
위의 버튼을 클릭하면 값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PER을 계산할 수 있는데요.
계산하는 기능 뿐 아니라, 해당 기업의 주가가 적정 수준인지도 같이 파악하고 있으니, 참고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.
2. 적정 주가 계산법 (PBR 공식)
PBR은 Price-to-Book Ratio의 약자로, 기업의 자산 대비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. 계산식은 다음과 같으며, BPS는 기업의 자본을 주식의 갯수로 나눈 값입니다.
✅PBR이 1보다 높다면, 주가가 자산 대비 높게 평가된 상태입니다. 주식이 과대평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, 브랜드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 할 수도 있습니다.
PBR 계산하기
위의 버튼을 눌러 값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PBR을 계산할 수 있으며,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도 알 수 있으니, 참고 바랍니다.
3. 참고할 만한 사이트
✔️재무 지표와 재무제표를 혼동하시는 경우가 있는데요. 재무 제표는 말 그대로 기업의 재무 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입니다. 재무 지표는 재무제표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기업의 성과를 반영하여 수익성, 안정성, 성장성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✔️적정 주가는 투자자에게 중요한 정보로,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입니다.
기업의 재무제포 및 주가 정보, 계산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Investopedia나 Yahoo Finance 등을 통해 쉽게 가능합니다.
재무 지표 정보 보기
재무 제표 정보 보기
PER 및 PBR과 같은 지표 계산 방법으로 적정 주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. 적정 주가 계산을 통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받아보세요!